
대한민국의 주거 환경에서 아파트는 가장 일반적인 주거형태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벽식 구조(Wall-type Structure)의 아파트는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성이 높아 대규모 주거단지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구조 방식은 바닥판(Slab)이 주요 수직하중을 직접 전달하며 보 없이 넓은 판상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층에서 발생한 충격이나 진동이 그대로 하층에 전달되어 층간소음(Inter-floor Noise)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층간소음은 크게 공기전달음과 구조전달음으로 구분되며 그중에서도 실생활에서 가장 민감한 것은 뛰거나 물건을 떨어뜨릴 때 발생하는 충격음(Impact Sound)입니다. 이는 바닥 슬래브를 통해 구조적으로 전달되며 단열재나 마감재만으로는 차단에 한계..

도시화 및 교통 인프라의 확장과 함께 터널의 용도는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차량용 도로 터널, 철도 터널, 보행자 연결 터널 등은 밀폐된 구조 특성상 화재나 유독가스 누출 등 재난 발생 시 피해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고 대피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구조물 내부를 일정 단위로 구획화하고 화염 및 연기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방재구획 설계와 연기 제거를 위한 제연구(除煙區) 시스템이 핵심 방재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터널 내에서 화재 발생 시 주요 사망 원인은 연기 흡입과 유독가스 중독으로 연기 확산 속도는 사람의 대피 속도보다 빠르며 시야 저하, 유해물질 흡입 등으로 대피를 어렵게 합니다. 따라서 연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제어하는 구획 단위의 방재 설계와 제연 기술의 정밀 제어는 필수적..

외단열 미장 시스템(External Thermal Insulation Composite System, ETICS)은 건물의 외벽에 단열재를 부착하고 그 위에 미장층과 마감재를 덧씌우는 방식의 단열 공법입니다. 기존의 내단열 또는 중단열 방식에 비해 열교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 및 실내 쾌적성을 높일 수 있어 고효율 주거 및 업무용 건축물에 널리 적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에서는 1960년대부터 에너지 절감 대책으로 본 공법이 사용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도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 확대에 따라 외단열 미장 시스템의 적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외단열 시스템이 잘못 설계되거나 시공 품질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결로(結露)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는 단열 성능 저하, 마감재 ..

매스콘크리트(Mass Concrete)란 일반적으로 치수 또는 체적이 커서 시공 후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을 외부로 쉽게 방출하지 못하는 콘크리트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댐, 교량 하부 기초, 대형 기초 매트, 터널 라이닝, 발전소 구조물 등이 있으며 이러한 대형 구조물은 시공 후 초기 수화 반응에 의해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됩니다. 시멘트의 수화 반응은 발열 반응이며 특히 C₃S 및 C₃A와 같은 조성이 많은 경우 급격한 발열이 발생합니다. 매스콘크리트에서는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크고 이로 인해 수축이 비균일 하게 발생하면서 내부 인장 응력이 증가하고 궁극적으로는 균열(Cracking)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수밀성 상실, 철근 부식 등 장기적인 문제로 이..

시멘트 페이스트는 시멘트와 물이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물로 콘크리트에서 골재를 결합하고 전체 구조체의 연속성과 강도를 확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초기 혼합 직후부터 경화가 완료되기까지 시멘트 페이스트는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며 그 중심에는 비중(density)의 변화가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페이스트는 혼화 직후에는 상대적으로 저밀도의 유동 상태를 유지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화 반응에 의해 비중이 증가하며 이 변화는 강도 발현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비중은 시멘트 페이스트 내에 존재하는 고체입자, 수화생성물, 기공의 분포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서 수화 진행 정도, 수분 함량, 공기량, 미세균열 형성 등의 정보를 직간접적으로 나타냅니다. 특히 콘크리트 초기 품..

교량은 온도 변화에 따라 상부구조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되는 구조물입니다. 특히 장대교량이나 강재교량의 경우 온도 변화에 의한 열팽창이 수 cm에 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리적 거동이 반복되면 구조물에 크리프, 피로, 균열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고 구조적 일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교량에는 신축이음 장치(Expansion Joint)가 설치됩니다. 신축이음 장치는 교량 상판 단부와 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구조물의 열변형, 교통 하중, 수축·크리프, 지진 등의 외력에 따라 발생하는 상판 변위를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상판의 열적 거동을 허용하면서도 상판 간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차량 통행 중의 충격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축이음 장치 자체도 반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