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퇴직금 신청 방법과 제출 서류와 주의사항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퇴직금 중간정산이란?
퇴직금은 원래 퇴직 시 일괄 지급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일정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 한해,
퇴직 전이라도 일부 또는 전부를 지급받는 제도를 “퇴직금 중간정산”이라고 합니다.
📌 이 제도는 근로자의 긴급한 자금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예외 규정입니다.
🧾 퇴직금 중간정산 신청 방법 (실전 절차)
퇴직금 중간정산을 원할 경우, 아래 절차대로 진행하세요.
✅ 1. 중간정산 신청서 작성
- 사업장 인사/총무팀에 요청
- 또는 직접 자필 작성
예시 항목:
- 이름 / 부서 / 입사일
- 중간정산 요청 사유
- 필요 금액 / 정산 희망일
✅ 2. 증빙서류 제출
각 사유에 맞는 공식 서류 제출이 필수입니다.
주택 구입 | 등기부등본, 무주택증명서, 매매계약서 |
치료비 | 진단서, 입퇴원확인서, 진료비 영수증 |
퇴직연금 전환 | 전환 계약서, DC계약서 등 |
자연재해 | 시청·구청 발급 재해확인서 |
회생/파산 | 법원 발급 관련 문서 |
✅ 3. 사업주 승인
- 중간정산은 사업주의 재량으로 승인 여부 결정
- 거절될 수도 있으며, 법적 강제는 없음
✅ 4. 퇴직금 일부 지급 또는 전액 지급
- 사유 인정 시, 정산 요청 금액만큼
- 급여와 별도로 입금됨
💰 중간정산 시 퇴직금은 줄어드나요?
네. 한 번 중간정산 받은 금액은 퇴직 시 정산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예:
- 10년 근속 중 5년 시점에 500만 원 중간정산 →
- 남은 근속기간(5년)에 대해서만 퇴직금 지급
📌 퇴직금 =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정산 이후 기간만 계산에 반영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