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중견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2년(또는 3년)간 꾸준히 납입하면, 본인 적립금과 기업·정부 지원금을 포함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공제제도입니다.


2021년 3년형 폐지 이후, 2년형(총 1,200만 원)이 기본형으로 지속되고 있으며, 2025년 최신 조건정보를 아래에 정리했습니다.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청녀내일채움공제

 

🔍 1. 최신 조건 요약 (2025년 기준)

🧍 참여 대상 (청년)

  • 나이: 만 15세 이상 ~ 만 34세 이하 (군복무자는 복무기간 연장 적용, 최대 만 39세) 
  • 취업 조건:
    • 중소·중견기업 정규직 신규 취업
    • 고용보험 가입 상태
    •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가입 기간 12개월 이하 (단기 가입 3개월 이하는 미산입) 
    • 월 급여 300만 ~ 350만 원 이하 기준 (세전 기준)

🏢 기업 자격 조건

  • 피보험자 수 5인 이상~50인 미만 중소·중견기업 (특정 지식서비스 산업군은 5인 미만도 가능) 
  • 제조·건설·서비스 등 다양한 업종 참여 가능 (유흥업소·비영리 등 일부 제외)

⏱️ 신청 기한 & 방식

  •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내에 참여 신청 필수
  • 회사 → 청년 순서로 워크넷 시스템에서 신청 → 중진공청약 후 가입 완료 

💰 적립액 구성 (2년형 기준)

  • 본인 부담금: 약 400만 원 (월 12.5만 원 × 32개월?) 
  • 기업 부담금: 약 400만 원 (매칭 적립)
  • 정부 지원금: 600만 원
  • 총 수령액 약 1,200만 원 + 이자 

 


✅ 2. 가입부터 만기 수령까지 꿀팁

  1. 6개월 이내 신청 절대 필수: 입사 후 캘린더로 신청 마감일 공유하기
  2. 회사→본인 순서로 워크넷 신청 절차 준수
  3. 만기 이후에도 서류 제출 지연 시, 고용센터에 적극 문의하기
  4. 만기 신청 즉시, 기관 앱 또는 사이트에서 신청하고, 입금 시점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
  5. 당황하지 말고 기업기여금, 취업지원금 지급 완료된 후 신청해야 만기 가능 

🌟 3. 왜 가입해야 하나요?

  • 목돈 마련: 2년간 약 1,200만 원, 3년형은 약 3,000만 원 자산 형성
  • 장기 근속 유도: 초기 경력 형성을 위한 동기 부여
  • 소득세 감면 등 다양한 세제 혜택 (3년형 가입 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