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정부가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해 발행한 이 상품권은, 실속 있는 소비를 중시하는 30~50대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이란?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행한 모바일 기반의 전통시장 전용 상품권입니다. 2025년 기준, 20만원 한도 내 10% 할인 구매가 가능하며,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습니다. 종이형 상품권과 달리 분실 위험이 없고, 실시간 충전과 사용 내역 확인이 가능해 편리성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발급 방법 및 구매처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은 다음 금융앱을 통해 구매할 수 있습니다:
- 농협 올원뱅크
- 경남은행 투유뱅크
- 대구은행 IM샵
- 광주은행 스마트뱅킹
- 신한 SOL
- 제로페이 가맹 앱 (비플제로페이, 머니트리, 체크페이 등)
상품권은 매월 1일 기준으로 개인별 구매 한도가 초기화되며, 1인당 최대 100만원까지 충전이 가능합니다. 단, 10% 할인은 20만원까지만 적용됩니다.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은 전국 대부분의 전통시장과 일부 소상공인 점포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자유롭게 결제 가능합니다. 대표 사용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재래시장, 전통시장 상점 (의류, 먹거리, 생활용품 등)
- 제로페이 등록 음식점 및 카페
- 동네 빵집, 미용실, 정육점, 반찬가게 등 소상공인 매장
사용 전에는 제로페이 가맹점 스티커 또는 ‘제로페이 가맹점 찾기’ 앱으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5년 온누리 상품권 혜택은?
특히 소득공제 40%는 연말정산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 절세에도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충전 및 사용법
- 앱스토어에서 제로페이 가맹 앱 설치
- 회원가입 및 본인 인증
- 온누리 상품권 메뉴 선택 → 금액 입력 → 계좌 이체로 충전
- 가맹점에서 QR코드로 결제
사용자는 결제 전 가맹점에서 디지털 온누리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으며, 결제 후에는 영수증과 문자 알림이 즉시 발송되어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및 유의점
- 백화점,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본사 직영점에서는 사용 불가
-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환불 불가 (단, 60% 이상 사용 시 환불 가능)
- 유효기간은 충전일로부터 5년
- 전통시장 외 사용 시 혜택 제한
또한, 정부 할인 혜택은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으므로, 월 초에 구매하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은 단순한 할인 수단이 아닌, 정부의 지원 정책을 소비자가 직접 체감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특히 전통시장을 자주 이용하는 30~50대 실속 소비자에게는 매우 유용한 도구로 자리잡고 있으며, 앞으로도 에너지 바우처, 민생회복 지원금 등과의 연계성도 강화될 예정입니다. 지금 바로 금융앱을 통해 발급받고, 지역 상권도 살리고 내 지갑도 지켜보세요!